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로그래머스 #자바 #java #코딩테스트 #연속된 수의 합 #코딩
- 프로그래머스 #JAVA #코딩테스트 #다음에 올 숫자 #코딩
- JAVA #객체지향언어 #절차지향언어 #코딩 #Python #C #C++ #객체지향 #절차지향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1)
Javadocs

@RequestBody와 @ResponseBody 어노테이션 Spring에서 비동기 처리를 하는 경우 @RequestBody와 @ResponseBody를 사용합니다. Client와 Server의 비동기 통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통신하는 메시지를 요청(Request) 메시지라고 하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통신하는 메시지를 응답(Response) 메시지라고 합니다. 웹에서 화면전환(새로고침) 없이 이루어지는 동작들은 대부분 비동기 통신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비동기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서버로 요청 메시지를 보낼 때, 본문에 데이터를 담아서 보내야 하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응답을 보낼 때도 본문에 데이터를 담아서 보내야 합니다. 여기서 본문이 'Body'입니다. 즉, 요청본문(RequestBody), 응..

# JOIN ?? JOIN 연산은 두 테이블을 결합하는 연산을 의미합니다. 데이터가 커지면서 하나의 테이블로 정보를 수용하기 어려워지면 테이블을 분할하고 테이블 간의 관계성을 부여합니다. 둥 테이블의 조인을 위해서는 기본키(Primary Key)와 외래키(Foreign Key) 관계로 맺어져야 하고, 이를 일대다 관계라고 합니다. # JOIN의 종류 1. INNER JOIN - 서로 중복되는 값만 나타냅니다. SELECT FROM JOIN ON [WHERE 검색 조건] // INNER JOIN을 JOIN이라고만 써도 인식한다. 2. OUTER JOIN INNER JOIN(내부 조인)은 두 테이블에 모두 데이터가 있어야 결과가 나오지만, OUTER JOIN(외부 조인)은 한 쪽 테이블에만 데이터가 있어도 ..

# 트랜잭션의 정의 트랜잭션(Transaction)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연산들을 의미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은 트랜잭션의 집합으로 정의 할 수 있다. # 트랜잭션의 필요성 트랜잭션은 작업의 완전성을 보장해주는 것입니다. 논리적인 작업들을 모두 완벽하게 처리하거나 또는 처리하지 못 할 경우 이전 상태로 복구하여 작업의 일부만 적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만들어 주는 기능. 계좌이체로 예를 들었을 때, 내가 누군가에게 ATM으로 송금을 한다고 가정한다면, 기계 작동 중에 오류나 정전 등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여서 기계가 멈추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이 때 내 계좌에서는 금액이 빠져나간 것..

# Bean?? Bean을 이해하기 위해 스프링 컨테이너(Spring Container 또는 IoC 컨테이너)에 대해 알 필요가 있습니다. 자바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제공하는 객체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때, 객체들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 보다서로 상호 작용하여 동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상호작용하는 객체를 '객체의 의존성'이라고 표현합니다. Spring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객체들을 생성하면 객체끼리 의존성을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하는 역할을 해줍니다. 그리고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 객체들을 '빈(Bean)'이라고 합니다. # 스프링 컨테이너에 Bean 을 등록하는 두 가지 방법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 관계 설정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

toString()과 String.valueOf()는 Object 값을 String 형으로 변환할 때 주로 사용하는 메소드. 두 메소드는 String의 형태로 값을 변환해주는 비슷한 점이 있지만, 변경하고자 하는 값이 null이라면 차이가 있습니다. 두 메소드의 차이점은 바로 null값에 따른 NullPointerException의 발생 유무입니다. 넘어오는 Object의 값이 null일 때 toString()과 String.valueOf()의 비교 toString() : null 값을 형 변환 시 NullPointerException(NPE)이 발생 / Object의 값이 String이 아니여도 출력. String.valueOf() : 파라미터로 null이 오면 "null"이라는 문자열로 출력 pu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