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로그래머스 #JAVA #코딩테스트 #다음에 올 숫자 #코딩
- 프로그래머스 #자바 #java #코딩테스트 #연속된 수의 합 #코딩
- JAVA #객체지향언어 #절차지향언어 #코딩 #Python #C #C++ #객체지향 #절차지향
- Today
- Total
목록Programming/DataBase (3)
Javadocs

# JOIN ?? JOIN 연산은 두 테이블을 결합하는 연산을 의미합니다. 데이터가 커지면서 하나의 테이블로 정보를 수용하기 어려워지면 테이블을 분할하고 테이블 간의 관계성을 부여합니다. 둥 테이블의 조인을 위해서는 기본키(Primary Key)와 외래키(Foreign Key) 관계로 맺어져야 하고, 이를 일대다 관계라고 합니다. # JOIN의 종류 1. INNER JOIN - 서로 중복되는 값만 나타냅니다. SELECT FROM JOIN ON [WHERE 검색 조건] // INNER JOIN을 JOIN이라고만 써도 인식한다. 2. OUTER JOIN INNER JOIN(내부 조인)은 두 테이블에 모두 데이터가 있어야 결과가 나오지만, OUTER JOIN(외부 조인)은 한 쪽 테이블에만 데이터가 있어도 ..

# 트랜잭션의 정의 트랜잭션(Transaction)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연산들을 의미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은 트랜잭션의 집합으로 정의 할 수 있다. # 트랜잭션의 필요성 트랜잭션은 작업의 완전성을 보장해주는 것입니다. 논리적인 작업들을 모두 완벽하게 처리하거나 또는 처리하지 못 할 경우 이전 상태로 복구하여 작업의 일부만 적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만들어 주는 기능. 계좌이체로 예를 들었을 때, 내가 누군가에게 ATM으로 송금을 한다고 가정한다면, 기계 작동 중에 오류나 정전 등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여서 기계가 멈추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이 때 내 계좌에서는 금액이 빠져나간 것..

1. 데이터 베이스(DB, DataBase)란?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체계화하여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이다. 즉, 자료 파일들을 조직적으로 통합하여 항목의 중복을 없애고 자료를 구조화하여 기억시켜 놓은 자료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2.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생성, 수정, 삭제를 통해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한다. 사용자들이 원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다. 데이터 논리적 독립성 사용자의 질의에 대하여 즉각적인 처리와 응답이 이루어짐.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주소가 아닌 내용에 따라 참조 가능. 3. 데이터베이스의 장, 단점 * 장점 데이터 중복 최소화 데이터 공유 일관성, 무결성, 보안성 유지 최신의 데이터 유지 데이터의 표준화 기능 데이터의 논리적,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