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프로그래머스 #자바 #java #코딩테스트 #연속된 수의 합 #코딩
- 프로그래머스 #JAVA #코딩테스트 #다음에 올 숫자 #코딩
- JAVA #객체지향언어 #절차지향언어 #코딩 #Python #C #C++ #객체지향 #절차지향
Archives
- Today
- Total
Javadocs
[Database] JOIN 이란? 본문
# JOIN ??
JOIN 연산은 두 테이블을 결합하는 연산을 의미합니다.
데이터가 커지면서 하나의 테이블로 정보를 수용하기 어려워지면 테이블을 분할하고 테이블 간의 관계성을 부여합니다. 둥 테이블의 조인을 위해서는 기본키(Primary Key)와 외래키(Foreign Key) 관계로 맺어져야 하고, 이를 일대다 관계라고 합니다.
# JOIN의 종류
1. INNER JOIN - 서로 중복되는 값만 나타냅니다.
SELECT <열 목록> FROM <첫 번째 테이블>
JOIN <두 번째 테이블>
ON <조인 조건>
[WHERE 검색 조건]
// INNER JOIN을 JOIN이라고만 써도 인식한다.
2. OUTER JOIN
INNER JOIN(내부 조인)은 두 테이블에 모두 데이터가 있어야 결과가 나오지만, OUTER JOIN(외부 조인)은 한 쪽 테이블에만 데이터가 있어도 결과가 나옵니다.
매칭되는 행이 없어도 결과에 포함시키며, 없는 경우 NULL로 표시해줍니다.
- LEFT OUTER JOIN : 왼쪽 테이블의 모든 값이 출력되는 조인
- RIGHT OUTER JOIN : 오른쪽 테이블의 모든 값이 출력되는 조인
- FULL OUTER JOIN : 왼쪽 또는 오른쪽 테이블의 모든 값이 출력되는 조인
SELECT < 열 목록 >
FROM < 첫 번째 테이블(LEFT 테이블) >
< LEFT | RIGHT | FULL > OUTER JOIN < 두 번째 테이블(RIGHT 테이블) >
ON < 조인 조건 >
[WHERE 검색 조건]
3. CROSS JOIN
한쪽 테이블의 모든 행과 다른 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조인시키는 기능입니다. 상호 조인 결과의 전체 행 개수는 두 테이블의 각 행의 개수를 곱한 수만큼 됩니다. 카티션 곱(Cartesian Product)이라고도 합니다.
SELECT * FROM < 첫 번째 테이블 >
CROSS JOIN < 두 번째 테이블 >
4. SELF JOIN(자체 조인)
SELF JOIN은 자기 자신과 조인하므로 1개의 테이블을 사용합니다. 별도의 문법이 있는 것은 아니고 1개로 조인하면 자체 조인 됩니다.
SELECT < 열 목록 >
FROM <테이블> 별칭A
INNER JOIN <테이블> 별칭B
[WHERE 검색 조건]
'Programming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0) | 2023.04.08 |
---|---|
[ DataBase] 데이터베이스란? (0) | 2023.03.1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