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JAVA #객체지향언어 #절차지향언어 #코딩 #Python #C #C++ #객체지향 #절차지향
- 프로그래머스 #JAVA #코딩테스트 #다음에 올 숫자 #코딩
- 프로그래머스 #자바 #java #코딩테스트 #연속된 수의 합 #코딩
Archives
- Today
- Total
Javadocs
기술 면접 준비하자!! (3) - 백엔드 본문
Q1. 관점지향 프로그래밍(AOP, Aspect Oriented Programming)?
AOP는 핵심 비즈니스 로직에 있는 공통 관심사항을 분리하여 각각을 모듈화 하는 것을 의미하며 공통 모듈인 인증, 로깅, 트랜잭션 처리에 용이합니다.
핵심 비즈니스 로직에 부가기능을 하는 모듈이 중복되어 분포되어 있을 경우 사용할 수 있습니다.
AOP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중복 코드 제거, 재활용성의 극대화, 변화수용의 용이성이 좋다는 점입니다.
Q2. Lombok ? Lombok이 만드는 메소드들이 생성되는 시점은 언제?
Lombok은 메소드를 컴파일 하는 과정에 개입해서 추가적인 코드를 만들어냅니다. 이것을 어노테이션 프로세싱이라고 하는데, 어노테이션 프로세싱은 자바 컴파일러가 컴파일 단계에서 어노테이션을 분석하고 처리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Lombok 라이브러리를 추가할 때 CompileOnly, AnnotationProcessor를 추가하는 이유도 된다.)
Q3.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은 필요한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닌 외부로부터 객체를 받아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객체간의 결합도를 줄이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의존성 주입은 생성자 주입, 필드 주입, 세터 주입의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Spring에서 가장 권장하는 의존성 주입 방법은 생성자를 통한 주입 방법입니다.
그 이유는 1. 순환 참조를 방지 / 2. 불변성을 가짐 / 3. 테스트에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