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docs

[Programmers] OX 퀴즈 본문

SelfStudy/Programmers(코딩테스트)

[Programmers] OX 퀴즈

Javatist 2023. 3. 15. 15:50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907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 문제설명 ]
덧셈, 뺄셈 수식들이 'X [연산자] Y = Z' 형태로 들어있는 문자열 배열 quiz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수식이 옳다면 "O"를 틀리다면 "X"를 순서대로 담은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

  • 연산 기호와 숫자 사이는 항상 하나의 공백이 존재합니다. 단, 음수를 표시하는 마이너스 기호와 숫자 사이에는 공백이 존재하지 않는다.
  • 1 ≤ quiz의 길이 ≤ 10
  • X, Y, Z는 각각 0부터 9까지 숫자로 이루어진 정수를 의미하며, 각 숫자의 맨 앞에 마이너스 기호가 하나 있을 수 있고 이는 음수를 의미합니다.
  • X, Y, Z는 0을 제외하고는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 -10,000 ≤ X, Y ≤ 10,000
  • -20,000 ≤ Z ≤ 20,000
  • [연산자]는 +와 - 중 하나이다.

[ 입출력 예 ]

quizresult
["3 - 4 = -3", "5 + 6 = 11"]["X", "O"]
["19 - 6 = 13", "5 + 66 = 71", "5 - 15 = 63", "3 - 1 = 2"]["O", "O", "X", "O"]

[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 3 - 4 = -3은 틀린 수식이므로 "X", 5 + 6 = 11 은 옳은 수식이므로 "O" 입니다. 따라서 ["X", "O"]를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19 - 6 = 13은 옳은 수식이므로 "O", 5 + 66 = 71 은 옳은 수식이므로 "O", 5 - 15 = 63 은 틀린 수식이므로 "X", 3 - 1 = 2는 옳은 수식이므로 "O" 따라서 ["O", "O", "X", "O"]를 return합니다.
public class OXQuiz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quiz) {
        String[] answer = new String[quiz.length];
        
        for (int i=0; i < quiz.length; i++) {
        	String[] numarr = quiz[i].split(" ");
            
        	int x = Integer.parseInt(numarr[0]);
        	int y = Integer.parseInt(numarr[2]);
        	int z = Integer.parseInt(numarr[4]);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numarr));
        	if (numarr[1].equals("+")) {
        		if(x + y == z) {
        			answer[i] = "O";
        		}else {
        			answer[i] = "X";
        		}
        	}
        	if (numarr[1].equals("-")) {
        		if(x - y == z) {
        			answer[i] = "O";
        		}else {
        			answer[i] = "X";
        		}
        	}
        }
        return answer;
    }

 


# parse의 종류

  • int 뿐만 아니라 byte, short, long, float, double 등 숫자와 관련된 타입은 전부 가능하다. 
    • parseByte() / parseShort() / parseInt() / parseLong() / parseFloat() / parseDouble()
    • () 안에는 문자열 타입의 숫자를 넣어주면 됨
    • boolean은 없음
  • char의 경우, charAt() 으로 존재

1. Integer.parseInt(String s)

  •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시킴
  • parseInt 함수는 Integer 클래스의 static 함수
  • 정수형으로 바뀌는 함수이기 때문에 문자열에 문자가 들어간 String은 바꿀 수 없음
public class Java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a = "1";
        int b = 3;
        // 변수 a와 변수 b의 형이 같아야 연산이 가능하므로 a를 문자형에서 정수형으로 바꿔야함.
        int StringToInt = Integer.parseInt(a) + b;
        
        System.out.println(StringToInt);	// 4
    }
}

2. Integer.parseInt(String s, int radix)

  • 숫자형의 문자열을 첫번째 인자 값 (String s)으로 받고 변환할 진수값 (int radix)을 입력하면 해당 진수에 맞춰 Integer형으로 변환
  • Integer.parseInt(String s)는 Integer.parseInt(String, 10) 와 같이 반환함.
public class Java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Integer.parseInt("1004"));	// 1004
        System.out.println(Integer.parseInt("1004", 8));	// 516
        System.out.println(Integer.parseInt("1004", 10));	// 1004
        System.out.println(Integer.parseInt("1004", 16));	// 4100
    }
}
Comments